개인정보 보호를 위한 비밀번호 변경안내 주기적인 비밀번호 변경으로 개인정보를 지켜주세요.
안전한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3개월마다 비밀번호를 변경해주세요.
※ 비밀번호는 마이페이지에서도 변경 가능합니다.
30일간 보이지 않기
  • 전체
  • 일반뉴스
  • 오피니언
  • 메타TV

최도일 서울대 교수, 한국분자·세포생물학회장 취임

메디칼타임즈=최선 기자서울대학교 식물생산과학부 최도일 교수가 제33대 한국분자·세포생물학회 회장에 취임했다. 최도일 교수는 회원들의 온라인 투표를 통해 2024년도 한국분자·세포생물학회 회장으로 당선됐으며, 이에 따라 2024년 1월 1일부터 앞으로 1년간 학회를 이끌게 됐다.최도일 신임 학회장최도일 학회장은 "우리 학회는 생명과학계의 중심에서 학회 회원들의 학문적 동행과 성장을 가장 중요한 지향점으로 두고, 다양한 학술 및 교육 행사를 통한 회원 간의 활발한 학문적 교류가 이뤄지는 장을 마련해 미래 지향적 여건을 조성하는 데 최선을 다할 것"이라며 "학회 회원들에게 많은 관심과 참여를 부탁드린다"고 당부했다.최도일 학회장은 서울대학교 농생물학과에서 학사와 석사 학위를 취득하고, 미국 캘리포니아대학 데이비(UC Davis)에서 박사 학위를 취득한 뒤 캘리포니아대학 버클리(UC Berkeley)에서 박사후 연구원으로 근무했다. 1994년 한국생명공학연구원을 거쳐 2006년 서울대학교 식물생산과학부에 부임한 후 한국연구재단 선도연구센터인 식물면역연구센터 소장과 국제 가지과 식물연구 컨소시엄 한국 대표를 맡고 있다.한국분자·세포생물학회는 1989년 창립 이후 이학, 의약학, 농수산 분야를 아우르며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생명과학 학회로 성장했다.2023년 기준 5500여명의 박사 학위급 정회원과 학생 회원, 산업체 회원 등 1만8000명의 등록 회원을 보유하고 있다.학회는 매년 정기학술대회를 개최하고 세계 유수의 과학자들을 초청해 국내 연구자들과 소통 증진 및 연구 개발 네트워크 형성을 추진하고 있으며 학회가 발간하는 전문 학술지 'Molecules and Cells'는 2022년 논문 영향력 지수인 impact factor가 세계적 학술지 수준인 3.8을 기록했다.
2024-01-23 18:19:28학술

지난해 천식알레르기 관련 학술지 영향력 '최고'

메디칼타임즈=안창욱 기자지난해 국내 학술지 중 세계적으로 가장 높은 영향력을 발휘한 저널은 '알레르기, 천식&면역 연구(Allergy, Asthma&Immunology Research,AAIR)'인 것으로 나타났다. 포항공대 생물학연구정보센터(BRIC)는 SCI 및 SCIE에 등재된 국내 바이오관련 저널 49개의 2008~2012년 인용지수(IF)를 최근 공개했다. 인용지수는 톰슨 로이터사가 제공하는 지식사이트(ISI Web of Knowledge)를 참고했다. 톰슨 로이터는 세계적인 학술 정보 서비스 기업으로 매년 수천여 종의 저널을 평가해 SCI 등재여부를 판단한다. 결과에 따르면 대한천식알레르기학회와 대한소아알레르기호흡기학회가 공동으로 발행하는 학술지가 IF 2.653으로 가장 높았다. 이 학술지는 2011년 처음으로 SCI에 등재돼 1.913을 받은 후 약 1.4배나 올랐다. IF는 각 저널의 연구 수준을 수치화 한 것이다. 즉, 연구가 미치는 파급효과를 숫자로 표현한 것. 이 수치가 높을수록 연구의 중요도와 심사수준이 높고 논문이 실리기가 힘들다. 한국분자ㆍ세포생물학회가 발행하는 'EXPERIMENTAL AND MOLECULAR MEDICINE(실험분자의학, EMM)'은 2.573으로 뒤를 이었다. EMM은 특히 2008년부터 꾸준히 IF를 2.5 수준으로 유지하면서도 조금씩 지수가 올라갔다. 거기다 올해부터는 세계 최고의 과학잡지로 꼽히는 네이처의 자매학술지가 됐다. EMM에 발표된 것은 네이처에도 실리게 된다. 이어서 고려인삼학회가 발간하는 '인삼연구(Journal of Ginseng Research)'가 2.259, 한국분자생물학회가 발간하는 '분자와 세포(MOLECULES AND CELLS)'가 2.21로 뒤를 이었다. 대한이비인후과학회가 발행하는 '임상·실험 이비인후과(Clinical and Experimental Otorhinolaryngology)'는 IF 지수가 0점 대에 있다가 지난해 2배 넘게 상승해 1.962를 기록했다. 연세의대에서 발행하는 학술지인 '연세 메디컬저널(YONSEI MEDICAL JOURNAL)'의 성장도 눈에 띈다. 2010년 IF 지수 1을 넘은 후로 꾸준히 상승하고 있다. 소화기관련 학회가 모여 공동으로 발행하는 '위장과 간(Gut and Liver)'도 지난해 인용지수 1을 처음으로 넘어서 1.314를 기록했다. 2011년보다 1.6배 상승한 수치다. 이 저널은 대한소화기학회,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 대한간학회, 대한소화관운동학회, 대한헬리코박터 및 상부위장관연구학회, 대한장연구학회, 대한췌담도연구회가 공동 발행하고 있다. 한편, IF가 오히려 떨어진 저널도 있었다. 대한신경과학회지인 '임상 신경학 저널(Journal of Clinical Neurology)'은 2011년 2.691로 높은 수준이었지만 지난해는 1.892를 기록하며 1.4배이상 떨어졌다. 국제학술지 발간에 참여하는 한 관계자는 "우리나라에서 발간되는 전문 학술지 중 IF가 높은 편으로 꼽히는 것이 2.5 수준이다. 일반의학을 다루는 잡지의 IF는 전반적으로 낮은 편인 것을 감안하면 1.0 넘어도 고무적인 것"이라고 설명했다.
2013-06-24 06:10:36학술
  • 1
기간별 검색 부터 까지
섹션별 검색
기자 검색
선택 초기화
이메일 무단수집 거부
메디칼타임즈 홈페이지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방법을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할 시에는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 처벌될 수 있습니다.